본문 바로가기

삶의 쉼터/북한산탐방

돌멩이 하나도 소중한 산

산길을 걷다 보면 풀 하나 돌멩이 하나에도 고마움을 느끼게 된다.

자연이 가까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 깨닫게 된다.

그러나......

 

 

척박한 환경에서도 바위틈을 비집고 피어난 진달래 꽃이 세상 무엇보다 고와 보인다.

 

산자락을 다 할퀴는 삽질공화국을 내려다보자면, 상자 속에 갇힌 개미들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.

 

바위의 작은 틈새 하나가 얼마나 큰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알려면 직접 거기에 가 봐야 한다.

 

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게 손잡이가 되어 주고 발 받침이 되어 주는 홈.

 

산자락 속에 폭 안기는 것만으로는 모자라서

 

탐욕스럽게 파내고 할퀴는 인간의 손 

 

늙은 나무에서 자라난 새 나무는 제 어미를 해치지 않는데

 

긴 그림자 늘이고 조용히 살아갈 뿐인데

 

 

 인간의 탐욕은 그것조차 가만히 두지를 않는다.

 

숲은 점점 설 자리를 잃는다.

 

아무리 깊은 산속을 찾아도 멀리 보이는 것은 문명이라는, 개발이라는 이름의 폭력에 잠식당한 상채기들뿐

 

무심한 발길들에 밟혀서 껍질이 다 벗겨져 버린 저 나무뿌리는,

이제야 그 고마움을 아는 누군가에 의해 돌 모자를 이었다.

 

아무리 상처 입고 짓밟혀도 의연한 이 산은...  

 

 

이제 저기 저 아파트보다 더 높은 아파트가 들어서면 우리 시야에 보이지 않을 것이다.

원주민을 몰아내고 들어온 몇몇 사람들만이 그 아름다움을 독차지한 채,

여름이면 모기가 많다고 투덜댈 터.

 

토지공사가 건설사에 퍼주느라 돈을 다 쓰고 허덕인다는 소식이다.

경기부양이란다.

삽질공화국의 끝은 어디인가?